
Chart
Schematic Chart는 작가의 세계관과 예술관을 보여주는 유쾌한 도식체계로서 Schematic Medium의 기본개념과 작동원리와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지도이자 안내서이다.
차트의 개념과 원리
Schematic Chart는 다양한 개념과 정교한 용어를 사용하여 작가가 정의하는 동시대 미술을 설명한다. 특히, Schematic Medium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통해 유기적인 시각 형식과 상호 연관적인 방식의 작품들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여준다. Schematic Chart는 작가의 세계관과 예술적 접근 방식인 Schematic Medium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이론이자 개념의 도표이다.
이 도식 체계에서 차트의 좌측 상단에 있는 '것(Thing)'이라는 용어는 인간의 인식과 언어로는 완전히 포착할 수 없는 모든 존재를 지칭한다. 이는 작가가 일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세상의 부분들을 탐구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다.
또한, 작가는 'Holon'이라는 개념을 통해 우주를 하나의 유기적인 덩어리로 본다. 'Holon'은 전체이자 부분이며, 부분이자 전체로 세상을 바라보는 철학적 개념이다. 이를 통해 김희조는 자신의 작품을 바라보는 관점과 인식을 명확히 드러낸다.
Chart
The Schematic Chart is a delightful diagrammatic system that showcases the artist's worldview and artistic perspective, serving as a map and guide that collectively illustrates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chematic Medium.
Concept and Principles of the Chart
The Schematic Chart uses a variety of concepts and sophisticated terminology to explain contemporary art as defined by the artist. It particularly shows how artworks in organic visual forms and interrelated styles are formed through the crucial concept of the Schematic Medium. The chart is both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diagram that holistically represents the artist's worldview and artistic approach encapsulated in the Schematic Medium.
In this schematic system, the term 'Thing' positioned at the top left of the chart refers to all existences that cannot be fully captured by human perception and language. This reflects the artist's intent to explore aspects of the world that are not routinely perceived in everyday life.
Additionally, the artist views the universe as a single organic entity through the concept of 'Holon'. 'Holon' represents a philosophical concept where each part is simultaneously a whole and a part, offering a perspective that each aspect of the world is both integral and complete. Through this, Kim Hee-jo distinctly reveals his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his own artwork.
/ Featured Characters
작가의 예술적 안내자: R.D. (Revolutionary Debris)와 친구들
Schematic Chart에는 작가의 분신인 R.D. (Revolutionary Debris)와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이 캐릭터들은 차트를 통해 작가의 정신과 예술적 세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설명하여 관객들이 작가의 세계를 즐겁게 탐험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각각의 캐릭터들은 Schematic Medium의 작동 원리와 앞으로 전개될 새로운 작품들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여 관객에게 흥미와 기대감을 불러일으킨다.
결론적으로, 이 차트를 통해 작가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지 못하는 세상의 본질을 탐구한다. 작가는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식을 명확히 하여 관객에게 새로운 시각적 및 철학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예술적 표현을 넘어, 깊이 있는 사유와 독창적인 시각을 공유하고자 한다.
/ Featured Characters
Artistic Guide: R.D. (Revolutionary Debris) and Friends
In the Schematic Chart,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the artist’s alter ego R.D. (Revolutionary Debris), appear. These characters help explain how the artist’s mind and artistic world are structured through the chart, guiding the audience to joyfully explore the artist's world. Additionally, each character provides insights into th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chematic Medium and hints about future artworks, sparking interest and anticipation among the audience.
Ultimately, through this chart, the artist explores the essence of a world we generally do not see. The artist clarifies his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world, offering the audience new visual and philosophical experiences. Through this, he aims to share deep reflection and a unique perspective, moving beyond simple artistic expression.
Core Self
코어 셀프는 정신적 주체로서의 작가로서 작가의 코어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Meta Self
메타 셀프는 코어로서의 자아를 살피고 조절해가는 초자아의 모습을 말한다.
Q Self
큐 자아는 삶의 본질에 대해서 끊임없이 궁금해 하고 질문하는 자아이다.
Aphorism Man
아포리즘 맨은 삶을 살아가는 하나의 개인이자 예술활동을 해나가는 개인으로서 세계에 대한 인식을 예술적 활동으로 전환해주는 캐릭터이다.
Holon
홀론은 그 동안 인간이 축적한 철학과 예술의 본질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Force Man
우주와 자연과 인간내에 존재하는 물리적인 현상적인 힘을 상징한다.
The Alchemist
연금술사는 작가의 세계관과 철학적 정신을 예술적 개념과 미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ABA
아바는 모든 예술이 다음 시대를 향한 변화와 발전을 위하여 꼭 필요한 관점과 요소들을 말한다.
Michon
미콘은 세계관이나 미술관을 구성하는 각각의 다양한 생산적 요소를 말한다.
Zeustir
제우스터는 마치 전지적인 시점과 관점을 가지고 서로 다른 요소들을 융합하거나 복합하는 역할을 한다.
Filter Man
필터맨은 최종적으로 작품화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요소만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캐릭터이다.
Core Self
Core Self shows the artist as a mental subject, revealing what constitutes the artist’s core.
Meta Self
Meta Self represents the super-ego that examines and regulates the self as a core.
Q Self
Q Self is the aspect of the self that is perpetually curious and questioning about the essence of life.
Aphorism Man
Aphorism Man is an individual who lives life and carries out artistic activities, transforming his perceptions of the world into artistic expressions.
Holon
Holon shows the essential nature of philosophy and art that humanity has accumulated over time.
Force Man
Force Man symbolizes the physical, phenomenological forces present in the universe, nature, and within humans.
The Alchemist
The Alchemist plays a role in transforming the artist's worldview and philosophical spirit into artistic concepts and aesthetics.
ABA
ABA represents the perspectives and elements necessary for all art to contribute to change and development towards the next era.
Michon
Michon refers to the various productive elements that constitute a worldview or perspective on art.
Zeustir
Zeustir acts like an omniscient being, merging or compounding different elements from a broad perspective.
Filter Man
Filter Man is a character who filters out only the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for finalizing the artwork.

“Draw. Paint. Observe.
Your artistic process will reveal your deficiency and your nature. Maintain awareness while working.”
Artist’s not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