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2024
BYR 99 Prime Elements
'B0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지름 45.72cm / 18inch diameter
'Y0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지름 45.72cm / 18inch diameter
'R0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지름 45.72cm / 18inch diameter
BYR Prime Elements 99의 시작을 알리는 'B01', 'Y01', 그리고 'R01'—즉, 블루와 스퀘어, 옐로우와 트라이앵글, 레드와 써클—은 BYR 99 시리즈의 첫 작품들로, 앞으로 전개될 BYR 99의 서막을 여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B01,' 'Y01,' and 'R01,' representing Blue and Square, Yellow and Triangle, and Red and Circle, are the inaugural works of BYR Prime Elements 99. These pieces serve as the conceptual foundation, setting the tone for the thematic exploration that unfolds throughout the BYR 99 series.
Blue & Square
세계 내에서의 인간의 가능성과 한계 | Human Possibility and Finitude Within the World
'B0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지름 45.72cm (18inch diameter)
'B0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0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1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2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3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3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3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3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ellow & Triangle
자연과 인간의 관계 | The Inter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ity
'Y0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지름 45.72cm (18inch diameter)
'Y0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0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1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2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3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3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3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Y3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ed & Circle
자연과 인간의 관계 | The Cosmic Bond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ity
'R0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지름 45.72cm (18inch diameter)
'R0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0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1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4',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5',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6',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7',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8',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29',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30',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31',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32',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R33', 2018-2020, 자작나무 합판에 플래시 바이널 페인트 스프레이 / Flashe vinyl paint spray on birch plywood, 45.72cm (18inch)
‘BYR 99 Prime Elements’는 Blue, Yellow, Red 각각 33개씩 총 99개로 이루어져 있다. 45.72cm의 직경과 2.54cm의 두께, 그리고 작품의 중심에 축을 만들어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만든 원 형태의 유닛들이다.
‘Blue’는 ‘정사각형’을 기본으로 한 33개의 유닛들로 구성되어 있다. 정사각형의네 점으로부터 시작된 선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고 생략, 확장, 결합하므로써 삶에서 직접 경험하는 현실을 구조적으로 형상화한다.
‘Yellow’는 ‘정삼각형’을 모티프로 하여 33개의 기하학적 형태들과 조합된다. 이 유닛들은 인간의 영역을 벗어나 존재하는 자연의 조화로운 구조와 반복, 리듬, 분석적 접근 등을보여주기 위한 것들이다.
‘Red’는 ‘원’으로부터 시작된 33개의 유닛들이다. 유선형이나 비선형 들의 곡선들이 점과 어우러지도록 구성되며 중력, 에너지의 이동, 궤도, 빛처럼 우주에서 비롯되는 물리적인 현상이나 힘의 변환 등을 표현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99개의 BYR 유닛들은 서로 간의 물리적 결합 혹은 화학적 융합으로 변화, 균형, 통일 등의 조형적 중용을 만들어가며, 각 유닛들은 매 순간의 삶 속에서 나의 몸과 마음이 직접 체험한 것들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기본적인 조형요소로 작동한다.
따라서 ‘BYR 99 Prime Elements’들은 나의 미술 형식으로 고정된 조형적 완성체가 아니라, 나의 삶에 대한 태도와 성찰을 끊임없이 반영해가며 변화해 가는 유기적 구조체라 할 수 있다.
Having experienced a rapid, continued metamorphosis of perception and viewpoint of the world through changing circumstances, I have turned to the metacognitive aspect to redefine myself. BYR shows my learnings, growth, reflection, and actions due to that metacognition.
Blue is my praxis of untangling the interrogation of the unknown in life denoting the state of mind and matter. In B, the foundational shape, a square, is inscribed in each circle. The four fixed points express the limitation of understanding self-awareness and psychologically embedded culture and self-reflection. These principles are used as a foundation unit and a surface perception of graphic lines. The linear recurrence relationship of points connects everything that is active in the raw progression.
33 Blue objects are to be interspersed, rotating on center axes. The origin of extrapolation would be installed in a space that is utilized as a universe-like platform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reations that had gone through multistep preconditions and procedures to demonstrate interesting interconnectivity among the pieces that reflect my attitude toward life.
Yellow is an interpretation of the cosmological events: birth, growth, death, and other patterns of biological and chemical nature. The concept behind series Y is to juxtapose the rational and metaphysical systems that coexist by building my own pattern methodology. The inscribed equilateral triangle is used as the motif. Diverse patterns emerge from the motif to represent analytical approaches to nature's harmonized structures, repetition, rhythm, and force gravity.
33 Yellow objects are to be interspersed, rotating on center axes. The origin of extrapolation would be installed in a space that is utilized as a universe-like platform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reations that had gone through multistep preconditions and procedures to demonstrate interesting interconnectivity among the pieces that reflect my attitude toward life.
Red investigates the physical law of nature based on phenomena such as gravitation, energy movement, orbit, and light. The base element of R is a circle that is representative of a particle. The line, shape, and form on R probe are both the microscopic and telescopic trace of the particle motion and the energy transformation therein. The others chronicle the interactions of the particle with its surroundings.
33 Red objects are to be interspersed, rotating on center axes. The origin of extrapolation would be installed in a space that is utilized as a universe-like platform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reations that had gone through multistep preconditions and procedures to demonstrate interesting interconnectivity among the pieces that reflect my attitude toward life.
2020-2024
BYR Organic Schemata (OS)
'B OS 01', 2020,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Y OS 01', 2020,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R OS 01', 2020,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 OS (Organic Schemata) | Y OS | R OS
'BYR OS 01', 2020,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2, 2021,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3, 2021,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4, 2022,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5',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6',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7',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8',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09',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S 10',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지름 120cm (47.24inch diameter)
BYR Organic Schemata
BYR Organic Schemata (OS) 시리즈는 BYR Prime Elements 99개의 유닛 중에서 선택된 세 개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 유닛들은 내가 고안한 융합, 제한, 화합, 변화, 재맥락화 등의 과정을 거쳐 스키매틱 미디엄으로 구성된다.
구조적 추상미술
BYR OS 시리즈는 모더니즘 이후의 추상주의를 넘어, 조형 요소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메타 개념주의적 접근을 통해 구조적 추상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과정 중심의 예술
이 시리즈는 완성된 결과물뿐만 아니라 예술 창작 과정의 가치와 중요성도 강조한다. 다양한 시각적 경험과 해석의 가능성을 관객에게 제공하며, 조형 요소들이 서로 보완하고 강화함으로써 더 깊은 미학적 경험을 만들어낸다.
메타 개념주의적 접근
BYR OS 시리즈는 20세기 미술의 형식과 개념을 반성적으로 돌아보고,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확장 가능성을 탐구한다. 개념미술의 영향 아래, 미적 경험을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하고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조형 요소의 새로운 해석과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조형 요소로서의 가능성
BYR OS 시리즈는 동시대 미술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조형 언어와 미적 경험을 창조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나의 독창적 사고와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예술의 가능성과 경계를 확장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BYR Organic Schemata (OS) 시리즈는 현대 미술의 경계와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조형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이 시리즈는 예술 작품이 단순한 시각적 오브젝트를 넘어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는 예술적실체로 기능한다.
BYR Organic Schemata
The BYR Organic Schemata (OS) series comprises three selected units from the 99 BYR Prime Elements. These units undergo processes of fusion, limitation, harmony, transform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conceived to form part of the Schematic Medium.
Structural Abstract Art
The BYR OS series transcends post-modernist abstraction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in formal elements. Through a meta-conceptual approach, it reveals new potentials in structural abstract art.
Process-Centric Art
This series emphasizes not only the finished products but also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artistic creation process. It offers audiences a variety of visual experiences and interpretive possibilities, where formal elements complement and enhance each other, creating deeper aesthetic experiences.
Meta-Conceptual Approach
The BYR OS series reflects on the forms and concepts of 20th-century art and explores new possibilities for expansion in contemporary art. Influenced by conceptual art, it analyzes, deconstructs, and reconstructs the components of aesthetic experience, enabling new interpretations and approaches to formal elements.
Potential of New Formal Elements
The BYR OS series embodies efforts to create new formal languages and aesthetic experiences within the currents of contemporary art. Through my original thinking and methodological approach, it seeks to expand the possibilities and boundaries of art.
Ultimately, the BYR Organic Schemata series continually expands the boundaries and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presenting a new paradigm in sculptural art. This series functions as an evolving artistic entity that transcends simple visual objects, interacting dynamically with the audience.
2020-2024
BYR Quad Origin (QUAD)
'BYR Quad Origin 1', 2020,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2', 2021,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3', 2022,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4', 2022,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5', 2023,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6', 2023,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7', 2023,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8',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9',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10', 2024, 캔버스에 유화 / Oil on canvas, 211.5 x 211.5 cm (83.5 x 83.5 inch)
BYR Quad Origin
BYR Quad Origin (QUAD) 시리즈는 BYR Prime Elements의 블루, 옐로우, 레드만을 이용하여 구성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본질주의(Essentialism)적 접근을 통해 예술 작품의 가장 기본적이며 순수한 형태를 드러낸다.
본질주의
각 작품은 BYR Prime Elements의 근본을 탐구하여 조형의 시작점과 가능성을 드러낸다. 이는 예술의 순수한 원형을 찾으려는 시도로, 작품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어떻게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근본탐구
BYR Quad Origin 시리즈는 창조적 과정의 시작점을 상징하며, 복잡한 구조 이전의 원초적 요소들이 어떤 가능성을 지니는지를 탐구한다. 이는 새로운 조형 언어를 창출하고자 하는 시도로, 기초적 조형 요소들이 예술적 내러티브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보여준다.
미니멀리즘의 영향
BYR Quad Origin 시리즈는 미니멀리즘 운동의 영향을 받아 복잡성을 제거하고 형태의 본질에 집중한다. 이는 기초적인 조형 요소들이 모여 구성된 형태로, 기하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단순하면서도 명확한 시각적 언어를 제공한다. 이 접근은 관객으로 하여금 조형의 기본적 아름다움을 인식하게 하며, 예술의 본질을 파헤치고자 하는 시도로, 형태의 간결함 속에서 의미를 찾는다.
형태주의적 접근과 추상적 구성
작품은 조형 요소들의 구조적 관계에 중점을 두어, 형태와 구성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이는 복잡한 내러티브 없이 추상적 조형 요소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관객이 작품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유도하며, 예술의 내적 논리를 중요시하는 형태주의적 접근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구축한다.
BYR Quad Origin 시리즈는 예술적 조형 요소의 근본을 탐구하고, 그 본질적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 시리즈는 창조적 과정의 출발점을 기념하며, 단순한 조형 요소가 지닌 심오한 가능성과 그 자체로서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BYR Quad Origin (QUAD)
The BYR Quad series is composed exclusively of the blue, yellow, and red elements from the BYR Prime Elements. This series reveals the most fundamental and pure forms of artwork through a minimalist and essentialist approach.
Essentialism
Each piece explores the core of the BYR Prime Elements, revealing the starting points and possibilities of form. This attempt to discover the pure archetypes of art poses questions about how the most basic units of a work can generate new meanings.
Fundamental Exploration
The BYR Quad Origin series symbolizes the starting point of the creative process, exploring the potential of elemental components before complex structures. This effort to create a new formal language demonstrates how basic formal elements can shape an artistic narrative.
Influence of Minimalism
Influenced by the minimalist movement, the BYR Quad Origin series strips away complexity to focus on the essence of form. Composed of basic formal elements, it provides a simple yet clear visual language based on geometric structures. This approach encourages viewers to recognize the fundamental beauty of forms and seeks to unearth the essence of art by finding meaning within simplicity.
Formalist Approach and Abstract Composition
The works focu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ormal elements, exploring the interaction of form and composition. This configuration offers a direct visual experience through abstract formal elements, devoid of complex narratives. Such a setup intuitively guides the audienc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artwork, constructing meaning through a formalist approach that values the internal logic of art.
Conclusion
The BYR Quad Origin series delves into the fundamentals of artistic formal elements, aiming to reveal their essential meanings. This series celebrates the starting point of the creative process, emphasizing the profound potential and inherent beauty of simple formal elements.
2017-2018
Core Searching Drawings
2017
‘Semi-Circle & No.9’ Drawing Series
수행성과 반복의 미학
수행성과 반복의 미학
'Semi-Circle & No.9' 시리즈는 Schematic Medium의 초기작업으로, 반원의 형태와 숫자 9를 반복적으로 작업함으로써 나 자신을 포함한 인간 존재의 가능성과 현실적인 한계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드로잉의 본질
선은 단순한 정적 요소가 아니라 공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내재된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선은 중심으로부터 확장하거나 분리의 느낌을 자아내며, 우아하게 곡선을 그리며 관람자를 그 길을 따라가도록 초대한다. 선은 과감하게 공간 속으로 돌출되어 전통적인 경계에 도전한다. 이러한 역동성은 인간의 경험과 감정을 시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은 기하학적 변형의 과정에서 형태를 탐구하고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볼륨이 있을 때, 선은 그것을 압축하거나 확장하고, 층층이 쌓아 형태를 만들어 낸다. 선은 뒤틀리고 접목되거나, 다른 선과 교차하여 복잡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선의 조작은 현대 예술에서도 계속해서 탐구되고 있으며, 각 예술가는 자신의 독창적인 시각을 통해 선을 해석하고 있다.
수행성(Performavity)과 반복(Repetition)
'Semi-Circle & No.9' 시리즈는 반원의 형태를 통해 인간의 미완성과 한계를 표현한다. 원은 완벽함, 무한성, 그리고 전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그 형태는 시작과 끝이 없이 계속 이어지는 영원한 순환을 의미한다 (Symbol Sage) (The Enlightenment Journey). 반면, 반원은 이러한 완전한 원의 일부로서, 완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인간의 한계와 불완전성을 상징한다. 이는 우리가 자연과 우주와 같은 완벽함에 도달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
또한, 숫자 9는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9는 한 자리 숫자 중 가장 큰 수로서,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한계를 나타낸다 (Ancient Pages) (The Symbolism). 이는 또한 완전성의 바로 직전 단계로, 인간의 한계와 유한성을 상징한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에서는 9를 천상의 숫자로 간주하였으며, 이는 최고로 완벽한 상태에 도달하기 전의 마지막 단계를 의미했다.
이처럼 'Semi-Circle & No.9' 시리즈는 반원과 숫자 9를 통해 인간 존재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며, 우리에게 자연과 우주의 완전함과 비교되는 인간의 불완전한 상태를 상기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나는 수행성과 실천의 과정을 강조하며, 작품이 단순한 시각적 표현을 넘어 깊은 철학적 의미를 지니게 한다.
‘Semi-Circle & No.9’ Drawing Series
'Semi-Circle & No.9' drawing, an early work within the Schematic Medium, explores the potential and realistic limits of human existence through the repetitive use of semi-circle shapes and the number 9. This artwork delves into the my self-reflection, as well as broader human conditions.
The Essence of the Drawing
In this work, lines are not merely static elements but dynamic entities interacting with space. Lines extend from a center, evoking separation, and gracefully curve, inviting viewers to follow their path. Boldly protruding into space, these lines challenge traditional boundaries, playing a crucial role in visualizing human experiences and emotions.
Lines serve as explorers and definers of form during geometric transformations. With volume, lines compress or expand, layering to create shape. They twist, graft, and intersect with other lines to form complex structures. Such interactions are essential i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human existence. This manipulation of lines continues to be a subject of inquiry in contemporary art, with each artist interpreting lines through their unique perspectives.
Performativity and Repetition
In 'Semi-Circle & No.9,' the semi-circle shape expresses human incompleteness and limitations. While a circle symbolizes perfection, infinity, and wholeness—representing an eternal loop without beginning or end—a semi-circle, as part of this perfect shape, denotes an unfinished state, symbolizing human limitations and imperfections. This suggests that we cannot achieve the perfection found in nature and the cosmos.
Furthermore, the number 9 holds significant symbolic meanings across various cultures. As the largest single-digit number, 9 represents the highest limit achievable by humans, symbolizing a stage just before completeness, reflecting human limitations and finitude. For instance, in ancient China, 9 was considered a celestial number, representing the final step before reaching a state of utmost perfection.
Through 'Semi-Circle & No.9,' I explore the potential and limits of human existence, reminding us of our imperfect state in contrast to the perfection of nature and the cosmos. By emphasizing the processes of performance and practice, I turn the artwork into more than a visual representation, imbuing it with profou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2017-2018
‘Color-Layered Line’ Drawing Series
신체와 수행성의 미학
Heejo Kim, 'Emotional Vibration #1',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canvas, 22.86 x 30.48 cm(9 x 12 in)
Heejo Kim, 'Emotional Vibration #2,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canvas, 22.86 x 30.48 cm(9 x 12 in)
Heejo Kim, 'Emotional Vibration #3',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canvas, 22.86 x 30.48 cm(9 x 12 in)
Heejo Kim, 'Emotional Vibration #4,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canvas, 22.86 x 30.48 cm(9 x 12 in)
Heejo Kim, 'Ideal #1',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linen, 30.48 x 30.48 cm (12 x 12 in)
Heejo Kim, 'Ideal #2',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linen, 30.48 x 30.48 cm (12 x 12 in)
Heejo Kim, 'Ideal #3', 2017, Oil and enamel paint on linen, 30.48 x 30.48 cm (12 x 12 in)
Heejo Kim, 'Sensory Organs', 2016
Heejo Kim, 'Within the Radii', 2018, Oil and enamel paint on linen, 30.48 x 101.6 cm (12 x 40 in)
'색선 드로잉'은 단순히 그리는 행위가 아니라, 일정 거리에서 움직이는 나의 손동작으로 생기는 색선들이 쌓여 기본적인 형태와 구조를 만드는 독특한 작업이다. 이 작품들은 선들이 얽히고 쌓여 기본적인 조형의 형태를 만들어낸다. 얇은 유화 물감과 유광 및 무광의 에나멜 물감의 층은 행위의 과정의 축적을 통해 힘을 전달하는 에너지의 결과물이다.
선들은 단순히 나열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얽히며 근본적인 조형이 된다. 이는 나의 정신과 신체가 직관적 감각을 만나는 지점에서 기본적인 색면으로 마무리된다.
나의 작업은 형태와 색채의 상호작용을 통해 깊이 있는 미학적 경험을 제공한다. 얇은 유화 물감과 유광/무광 에나멜 물감의 조화는 작품에 독특한 텍스처와 생동감을 부여한다.
재료의 상호작용과 획의 중요성
유화 물감의 섬세함과 에나멜의 질감은 각각 다른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들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독특한 미적 균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작품에 깊이와 생동감을 더한다.
작품의 모든 획은 코어를 추구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기능한다. 각 선은 개별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작품의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는 작품이 지닌 생명력의 원천이 된다.
직관과 경험
'색선 드로잉'에서 나는 직관적인 감각기관을 통해 인간의 경험을 시각화한다. 이는 개인의 기억과 그 재현에 의해 살아 움직이는 선들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색선의 획 하나하나는 기억과 그 재현의 산물로, 시간의 흐름과 개인의 역사성을 담고 있다. 이러한 선들은 개별적인 경험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보편적 인간 경험의 일부로서 관객과 공명한다.
감각과 기억
나는 경험에 기초하여 감각기관을 통해 본질과 핵심을 포착한다. 이는 지성과 영혼이 결합된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내며, 관객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도록 유도한다.
'색선 드로잉'은 그 자체로 하나의 살아 있는 존재로서, 계속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서 유기적 구조와 미적 균형을 통해 깊이 있는 철학적, 미학적 성찰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접근은 나의 예술적 비전과 창조적 열망을 나타내며, 작품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Colored-Line Drawing" is not just an act of drawing, but a unique work created by the accumulation of colored lines resulting from my hand movements across a certain distance. These lines intertwine and build up to form basic shapes and structures. Layers of thin oil paint and both glossy and matte enamel paints accumulate through the act, manifesting as a forceful expression of energy.
Lines are not simply laid out; they organically entangle to become fundamental forms, culminating in basic color planes at the point where my mind and body meet intuitive senses.
My work provides a profound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interaction of form and color. The combination of thin oil paints and glossy/matte enamel paints gives the artwork a unique texture and vitality.
Interaction of Materials and the Importance of Strokes
The delicacy of oil paints and the texture of enamels provide distinct visual effects. Their interplay creates a unique aesthetic balance, adding depth and vibrancy to the artwork.
Every stroke in the artwork functions as an essential element in pursuit of the core, with each line being individual yet integrated, conveying the energy of the piece. This becomes the source of the artwork's vitality.
Intuition and Experience
In "Color Line Drawing," I visualize human experiences through intuitive sensory organs, expressed as a collection of lines animated by personal memories and their representations.
Each stroke of color embodies memories and their reproductions, capturing the flow of time and the individual's historicity. These lines hold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sonate with the universal human experience.
Sensation and Memory
I capture essence and core through sensory organs based on experience. This creates a unique visual experience that combines intellect and soul, encouraging viewers to explore their inner selves through the artwork.
"Colored-Line Drawing" exists as a living entity in itself, part of a continual process of change and growth, enabling deep philosophical and aesthetic reflections through its organic structure and aesthetic balance. This approach represents my artistic vision and creative aspiration, prompting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through his work.
2018
Core searching paintings
수행성과 탐구의 미학
Core Searching Paintings은 유화 물감과 붓을 사용해 흑백, 블루, 옐로우, 레드의 선과 사각형, 원, 삼각형 등의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통해 신체와 수행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 페인팅은 나의 신체적 행위와 수행적 과정을 강조하며, 예술 창작의 본질을 탐구한다. 작품은 관객에게 예술의 다양한 가능성과 해석을 제시하며, 그리는 행위 자체가 예술의 핵심임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Core Searching Paintings은 행위 자체에 집중함으로써 예술 창작의 시작점과 그 과정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한다.
Core Searching Paintings의 개념적 접근
이 페인팅은 나의 신체적 탐구를 위한 시각적 수단으로서, 수행성과 행위의 결합된 창작 과정을 반영한다. 이는 추상 표현주의의 전통을 이어받아, 나의 감정과 생각이 자유롭게 표출되는 순간을 포착한다.
신체적 창작
Core Searching Paintings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창작되는 작품으로, 기본 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패턴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과정은 나의 의식적인 생각과 감정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수행의 과정
페인팅은 반복적이고 수행적인 행위를 통해 완성되며, 이는 예술 창작이 특정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차원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상징한다. 작품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객에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형태의 단순성
작품은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들이 조합되면서 다채로운 패턴과 시각적 리듬을 만들어낸다. 이는 최소한의 요소로 최대한의 표현을 이루려는 미적 시도를 반영한다.
행위의 집중
그리는 행위 자체에 집중하며, 이러한 몰입의 상태가 작품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는 행위 예술(Performance Art)과도 연결되며, 창작 과정이 곧 작품의 일부로서 의미를 가진다.
Core Searching Paintings은 이러한 신체와 수행성의 결합을 통해 예술 창작의 본질을 탐구하며, 관객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과 철학적 사유를 제공한다. 이는 단순한 시각적 표현을 넘어, 깊은 의미와 감정을 전달하는 예술 작품으로 자리잡는다.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and Exploration
"Core Searching Paintings" uses oil paints and brushes to explore the body and performative aspects through basic and simple shapes like lines and geometric forms in black, blue, yellow, and red. These paintings emphasize my physical act and performative process , exploring the essence of artistic creation. The works present to the audience the varied possibilities and interpretations of art, emphasizing that the act of drawing itself is central to art. Through this, "Core Searching Paintings" refocuses on the act of creation itself,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starting point and process in artistic creation.
Conceptual Approach of Core Searching Paintings
These paintings serve as a visual means for my physical exploration, reflecting a creative process that combines performance with action. This approach continues the tradition of Abstract Expressionism, capturing moments where my emotions and thoughts are freely expressed.
Physical Creation
"Core Searching Paintings" are creat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using basic elements to form various shapes and patterns. This process visually manifests my conscious thoughts and emotions.
Process of Performance
The paintings are completed through repetitive and performative acts, symbolizing that artistic cre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rection but unfolds multidimensionally. The works offer the audience a spectrum of interpretative possibilities through this process.
Simplicity of Form
Although the works are composed of basic and simple forms, their combination creates diverse patterns and visual rhythms. This reflects an aesthetic attempt to achieve maximum expression with minimal elements.
Focus on the Act
I focus intensely on the act of drawing, and this state of immersion is evident in the works. This connects to Performance Art, where the creative process itself is meaningful as part of the artwork.
"Core Searching Paintings" explore the essence of artistic cre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performance, providing the audience with new visual experiences and philosophical contemplation. This transcends simple visual representation, positioning the works as art that conveys deep meaning and emotion.
2017-2018
Circle Geometry
Circle Geometry
Circle Geometry는 전통적인 회화와 조각과는 달리 삼차원의 순수조형을 탐구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점, 선, 면, 형이라는 조형 요소를 오브제에 적용하여, 평면적인 조형 요소들을 삼차원의 공간에서 구현한다.
스키매틱의 개념과 오브제의 혼합
Circle Geometry는 기본적인 조형요소에 스키마의 개념을 적용하여 삼차원의 공간으로 확장한 오브제 작품들이다. 이 작품은 평면형식을 넘어 공간형식으로 확대되어 조형 요소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평면의 삼차원화
Circle Geometry는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원칙을 삼차원 공간에서 구현하며, 미니멀리즘과 본질주의의 미학적 가치를 재조명한다. 단순한 형태와 명확한 구조를 통해 조형의 기본적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관객에게 순수한 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Circle Geometry는 평면적 조형 요소가 공간으로 확장될 때 새로운 조형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현대 미술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
결론
Circle Geometry는 스키매틱의 개념과 오브제를 혼합한 삼차원의 조형 작품으로, 미학적 및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작품은 조형의 기본 요소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체험하게 하며, 현대 미술의 경계와 가능성을 확장하는 예술적 실체로 기능한다.
Circle Geometry
Unlike traditional painting and sculpture, "Circle Geometry" explores pure three-dimensional forms. This work applies formal elements such as points, lines, planes, and shapes to objects, realizing two-dimensional formal elements within a three-dimensional space.
Integration of Schematic Concepts and Objects
"Circle Geometry" applies the concept of schematics to basic formal elements, expanding them into three-dimensional spaces. This expansion from plane to spatial forms allows viewers to directly experience the formal elements.
Three-Dimensionalization of the Plane
"Circle Geometry" implements the principles of geometric abstract art in three-dimensional spaces, reevaluating the aesthetic values of minimalism and essentialism. Through simple forms and clear structures, it highlights the fundamental beauty of forms and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pure aesthetic experience.
As two-dimensional formal elements extend into space, "Circle Geometry" reveals new possibilities for form. It continues the tradition of geometric abstract art, marking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modern art by exploring new potentials.
Conclusion
"Circle Geometry" is a three-dimensional sculptural work that blends schematic concepts with objects, holding significant aesthetic and art historical importance. This work allows a new way to experience the basic elements of form and functions as an artistic entity that expands the boundaries and possibilities of contemporary art.
2018
Schematic Objects Study from Circle Geometry
Heejo Kim, 'Wall as a platform #2', 2018
Heejo Kim, 'Dubious Extendability', 2018
Heejo Kim, 'Distressing Erect (two lines bent and branced)', 2018
Heejo Kim, 'Disfuntional Pinch (single inflation)', 2018
Heejo Kim, '(Extrude + Interlock)', 2018
Heejo Kim, 'Lifted Consolation', 2018
Heejo Kim, 'Sad Taper', 2018
Heejo Kim, 'Spur', 2018
Heejo Kim, 'The Ambivalent Half', 2018
Heejo Kim, 'The Wave', 2018
Heejo Kim, 'Transitory Agony', 2018
Heejo Kim, 'Twisted Dilettante', 2018
Heejo Kim, Vacuous Fractures (extract)', 2018
Heejo Kim, 'Verisimilitude,' 2018
Heejo Kim, 'Visceral Offset', 2018
Heejo Kim, 'Succinct Loss (Single Volume Substract)', 2018
Heejo Kim, 'Philanthropic implication (Admixture)', 2018
Heejo Kim, 'The Sphere', 2018
Heejo Kim, 'Oozoo (After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the Expulsion from Paradise by Giovanni di Paolo’)', 2018
Heejo Kim, 'Oozoo (After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the Expulsion from Paradise by Giovanni di Paolo’)', 2018
Heejo Kim, Installation view of 'Wall as the platform' series
이 작품은 반원이라는 나만의 조형 요소를 이용하여 삼차원 공간에서 새롭게 구현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스키매틱 미디엄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평면적인 요소를 유기적인 삼차원의 조형으로 표현하며, 2차원과 3차원 사이의 연결성을 실험하고 있다.
이 작품은 "Circle Geometry"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삼차원의 순수 조형을 탐구하며, 평면적 조형 요소를 삼차원의 공간으로 확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점, 선, 면, 형이라는 전통적인 조형 요소들이 오브제에 적용되어, 삼차원 공간에서 물리적으로 구현되는 과정을 통해, 조형의 기본적 아름다움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다.
특히, "Schematic Objects Study from Circle Geometry"는 스키매틱의 개념과 오브제를 혼합하여, 평면 형식을 넘어서 공간 형식으로 확대된 조형 요소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원칙을 삼차원 공간에서 구현하며, 미니멀리즘과 본질주의의 미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동시에, 새로운 미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평면적 조형 요소가 삼차원 공간으로 확장될 때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며,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는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전통을 이어가는 동시에, 내가 추구하는 스키매틱 미디엄의 개념을 통해 현대 미술의 경계와 가능성을 확장하는 예술적 실체로 기능한다.
This work is characterized by its innovative use of the semicircle, a unique sculptural element, and its reimagining within a three-dimensional space. I employ the methodology of the Schematic Medium to transform planar elements into organic three-dimensional forms, experimenting with the connection betwee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paces.
Based on the fundamental concepts of "Circle Geometry," this piece explores the pure form within three dimension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extending planar design elements into the spatial realm. Traditional sculptural elements such as points, lines, planes, and shapes are applied to objects, physically manifesting them in three-dimensional space, offering a fresh perspective on the fundamental beauty of form.
In particular, "Schematic Objects Study from Circle Geometry" blends the concept of the schematic with objects, allowing viewers to directly experience sculptural elements that transcend planar formats and expand into spatial forms. This approach not only implements the principles of geometric abstract art within a three-dimensional context but also reexamines the aesthetic values of minimalism and essentialism, while exploring new aesthetic possibilities.
In conclusion, this work demonstrates the new possibilities that arise when planar design elements are expanded into three-dimensional space. It continues the tradition of geometric abstract art, which marks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modern art, while also functioning as an artistic entity that expands the boundaries and potential of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concept of the Schematic Medium.
2018
Schematic Painting Study from Core Searching Drawings
이 작품은 "코어 서칭 드로잉"을 평면에 적용하여 제작된 "스키매팅 페인팅"이다. 나는 회화를 미디엄으로 삼아, 오브젝튀얼한 접근 방식과 색상에 반사되는 조명 효과를 통해 인상주의에서 강조된 빛의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또한, 마르셀 뒤샹 이후의 오브제 개념을 끌어와, 전통적인 회화 기법과 현대 미술의 요소를 하나의 평면 위에 융합하였다. 이 작품은 빛과 색, 그리고 오브제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각적 깊이와 공간감을 창출하며, 이를 통해 관객에게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시각적 조화를 이루면서도, 평면성이라는 회화의 본질을 유지하는 점에서, 이 작품은 현대 회화의 경계를 탐구하고 확장하는 중요한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This work, titled "Schematic Painting," is an application of the "Core Searching Drawings" onto a flat surface. I utilize painting as a medium, adopting an objectual approach and incorporating lighting reflected through color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light emphasized in Impressionism.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 notion of the object, as introduced by Marcel Duchamp, the work combines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with elements of contemporary art on a single plane. Through the interaction of light, color, and objects, this piece creates a visual depth and a sense of space, offering viewers a novel sensory experience.
The organic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achieves visual harmony while maintaining the essence of flatness inherent in painting, making this work a significant exploration and expansion of the boundaries of modern painting.
2018
Schematic Platform no.1
이 설치 작품은 "스키매틱 미디엄"을 구성하는 모든 장르를 설치 형식으로 전시한 작품이다. 회화와 드로잉, 조각과 오브제, 그리고 다양한 날것의 재료들을 하나의 미디엄으로 결합하여, 동시대 미술의 여러 장르를 종합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은 각각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유기적인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동시대 미술의 복합성과 다층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이 작품은 "스키매틱 미디엄"이라는 나만의 고유한 개념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되고 전개되는지를 보여준다. 나는이를 통해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탐구하며, 동시에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미술적 비전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 작품은 동시대 미술에 대한 나의 포괄적인 접근과 독창적인 해석을 통해, 관객에게 새로운 시각적 경험과 의미의 층위를 제시한다.
This installation work showcases all the genres that constitute the "Schematic Medium" in an installation format. It combines painting, drawing, sculpture, objects, and various raw materials into a unified medium, comprehensively expressing multiple facets of contemporary art. Each element interacts to create an organic installation space, visually revealing the complexity and multilayered nature of contemporary art.
In particular, this work demonstrates how my concept of the "Schematic Medium" is concretely realized and developed. Through this approach, I explore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art in a comprehensive and holistic manner while simultaneously unfolding their artistic vision in an individual and specific way. This piece offers viewers a new visual experience and layers of meaning, reflecting my broad approach and original interpretation of contemporary art.
2006
One Hour Series
<One Hour Series>는 여러 인물의 주요 특징을 한 시간 안에 포착하여 표현한 작품으로, 크로키와 유사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시리즈는 짧은 시간 안에 대상을 관찰하고, 브러시 스트로크를 통해 순간적으로 인물의 본질을 포착하는 데 필요한 집중력과 직관을 보여준다. 나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인물을 단순히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물의 핵심적인 특질을 신속하게 이해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경향의 회화는 미학적 및 미술사적 관점에서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One Hour Series>는 인상주의와 연관될 수 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순간적인 빛과 색의 효과를 포착하기 위해 신속한 브러시 스트로크와 직관적 접근을 사용한 것처럼, 이 시리즈도 인물의 특징을 순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세밀한 묘사보다는, 대상의 핵심적인 특질과 감각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인물의 내면적 표현을 탐구한다.
또한, 이 시리즈는 20세기 초반의 표현주의적 경향과도 연결될 수 있다. 표현주의 화가들은 감정과 주관적 경험을 강조하며, 대상을 왜곡하거나 단순화하여 감정적 본질을 드러내려 했다.
특히 이 시리즈는 작품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에서 나의 직관적 판단과 순간적인 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작업 방식은 단순히 결과물로서의 작품만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창작 과정과 나의 사유 과정을 중시한다는 측면에서 내가 추구하는 스키매틱 페인팅의 초기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e One Hour Series is a body of work in which the I capture and express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various individuals within an hour, employing an approach similar to croquis. This series demonstrates my focus and intuition, necessary to observe the subject in a short time and capture the essence of the individual through spontaneous brushstrokes. I do not merely depict the figure but exercises the ability to quickly grasp and convey the subject's core traits.
From an aesthetic and art histor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to painting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the One Hour Series can be linked to Impressionism. Just as Impressionist painters used swift brushstrokes and intuitive methods to capture the fleeting effects of light and color, this series attempts to quickly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t emphasizes the essential qualities and sensations of the subject rather than detailed representation, exploring the inner expression of the individual.
Additionally, this series can be connected to the Expressionist tendencies of the early 20th century. Expressionist artists emphasized emotion and subjective experience, often distorting or simplifying the subject to reveal its emotional essence.
Notably, this serie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y intuitive judgment and momentary decisions in the creative process, showing not just the final product but also the process of creation and my thought process. In this regard, it effectively demonstrates the early tendencies of the Schematic Painting approach that I pursue.
2006
Pattern Studies
Pattern Studies는 마티스와 같은 유명 작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브러시 스트로크, 반복적인 패턴, 색채 등의 조형 요소를 다양한 변주를 통해 그 확장 가능성을 실험한 작품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변형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전통적인 기법의 경계를 이해하고 확장하려고 한다.
이 작품은 패턴과 반복이라는 형식적 측면을 탐구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요소들이 가지는 감정적, 심리적 영향에도 주목하고 있다. 나는 패턴의 규모, 리듬, 색채의 강도를 조작함으로써, 원작에 대한 오마주를 표현하는 동시에 이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이러한 패턴들이 사용되는 방식과 변주에 따라 관객에게 어떤 다른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더 나아가, Pattern Studies는 전통과 혁신 사이의 예술적 대화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작품이다. 나는 전통적인 조형 요소들을 해체하고 다시 조립함으로써, 이를 현대 미술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이 과정은 고전적 미학과 현대적 접근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Pattern Studies is a work that experiments with the possibilities of expanding the compositional elements found in the works of renowned artists like Matisse, particularly focusing on brushstrokes, repetitive patterns, and color schemes. Through various modifications and reinterpretations, I seek to understand and push the boundaries of these traditional techniques.
In addition to exploring the formal aspects of pattern and repetition, Pattern Studies also delves into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pact of these elements. By manipulating scale, rhythm, and color intensity, I not only pay homage to the original works but also recontextualizes them within a contemporary framework. This approach allows for an exploration of how different applications and variations of patterns can evoke diverse responses from viewers.
Moreover, Pattern Studies engages in the broader dialogue between tradition and innovation in art. By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these traditional elements, I reinterpret them as new possibilities within contemporary art, demonstrating how classical aesthetics and modern approaches can interact to create novel visual experiences.
2004-2011
Genetic Clones: Hello! Dolly!
포스트 모더니즘 이후, 보들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시뮬라시옹과 시뮬라크르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원본이 없는 원본, 복제가 아닌 복제의 개념이 이슈가 되어왔다.
지금 이 시대에서는 사람들이 원본과 복제 개념의 구분하지 않고 동등하게 취급하려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것은 포스트 모더니즘이 등장하면서, 획기적으로 변화된 내용들이다.
이러한 큰 틀안에서, ‘헬로, 돌리!’ 시리즈를 본다면, 인간이 인위적으로 조작한 어떠한 생명체를 새롭게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이 시대의 시각이 담겨져 있다. 클론이라는 것 자체도, 21세기에 들어서 인간의 존재와 가치에 대해, 오늘날 다양한 시각과 주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이러한 주제에 착안하여 나는 세계 최초로 복제된 포유류로 알려진 양, 즉, 돌리를 일련의 시리즈로 제작하였다. 원래 코드명 '6LL3'이었던 이 복제 양은 미국의 가수 겸 배우 돌리 파튼의 이름을 따서 새롭게 명명되었다.
복제양 돌리 는 본질의 존재에 관한 이야기가 되며 또한 대중문화, 종교와 첨단 과학의 융합을 대표하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성경에서 인류의 집단적 본성을 공통적으로 상징하는 양이 최초로 복제되었다는 사실도 흥미롭다고 할 수 있다.
과학자들이 첨단 기술을 사용하여 양을 복제했듯이, 나는 미술사의 다양한 사조들과 연결하여 돌리를 시각적 대상으로 삼아 다양한 회화 기법과 미술사조등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유전 공학이라는 혁신적 기술로 인하여 야기되는 생명창조와 예술에 있어서의 창조와 모방의 개념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로 폴 세잔, 앤디 워홀, 크리스토와 장 클로드, 앙드레 드랭, 조나단 라스크로 등 잘 알려진 예술가들의 작품에 패스티쉬의 개념을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 아티스트 노트, 2005
Since Postmodernism, the concepts of Simulacra and Simulation by Jean Baudrillard have emerged, and the concept of original without original and replica without replica has become an issue.
In this day and age, people tend not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concepts of original and reproduction, and treat them equally. This has changed dramatically with the advent of postmodernism. Within this framework, the "Hello, Dolly!" series is a reflection of the era's view that humans can create new, artificially engineered life forms. Cloning itself is also a topic that is being debated in various ways today about the existence and value of human beings in the 21st century.
Inspired by these themes, I created a series of works based on the world's first known cloned mammal, a sheep named Dolly. Originally codenamed '6LL3', the cloned sheep was named after American singer and actress Dolly Parton. Dolly the cloned sheep becomes a story about the existence of essence and also represents the convergence of pop culture, religion, and cutting-edge science. It'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first animal to be cloned was a sheep, a common symbol of humanity's collective nature in the Bible.
Just as scientists used advanced technology to clone the sheep, I used Dolly as a visual object to express my own point of view by connecting with various schools of thought in art history. Each work repeatedly expresses the theme of Dolly using various painting techniques and art history references. The aim is to rethink the concepts of creation and imitation in art and the creation of life brought about by the revolutionary technology of genetic engineering. The series was creat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Pastiche to the works of well-known artists such as Paul Cézanne, Andy Warhol, Christo and Jeanne Claude, André Derain, Jonathan Lasker, and many others.
- Artist Note, 2005